1. 기능적 분류
: 척수손상을 마비된 부위에 따라 양다리 마비(paraplegia)와 팔다리 마비(quadriplegia tetraplegia)로 구분합니다.
양다리 마비는 등 신경을 포함한 허리신경 엉치신경의 손상으로 팔의 기능은 정상이나 몸통과 다리가 마비된 경우를 말하며, 팔다리 마비는 목신경 손상으로 팔과 몸통, 다리의 마비뿐만 아니라 호흡 기능이 마비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2. 신경학적 분류
1) 완전 손상
: 척수의 완전 절단에 의해 손상부위 이하에서 운동이나 감각이 모두 상실된 경우를 말하며 이때 완전(complete)의 의미는 근육의 수의적 조절이나 감각의 상실이 앞으로도 회복될 가능성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척수의 완전 손상은 척수신경의 완전 절단이나 압박, 척수 혈관의 파괴가 주요 원인입니다.
2) 불완전 손상
: 척수의 부분적인 손상이나 압박에 의해 손상부위 이하의 운동이나 감각이 일부 보존된 경우를 말하며, 일부 살아있는 신경 조직이 손상 부위를 지나 원위 척수분절까지 내려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우 척추관 내의 부종이나 척수 열상, 척수의 부분적인 절단이나 압박이 주요 원인입니다.
척수의 압박이 제거되면 부분 혹은 완전 회복도 가능하며, 손상 초기에 이러한 기능 회복을 보이는 환자는 대체로 예후가 양호한 편입니다.
3) 불완전 척수 증후군
① 앞척수증후군(anterior cord syndrome)
: 척추뼈나 연골 파편에 의해 척수동맥과 척수 전면부를 압박해 손상부위 아래로 대칭적인 운동과 통각, 온각이 상실되지만 위치감각과 진동감각은 후척추동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으므로 보존됩니다.
② 뒤척수증후군(posterior cord syndrome)
: 주로 척수의 뒤기둥이 손상되어 손상부위 이하로 동측의 위치감각, 고유수용성 감각, 식별 감각은 소실되지만 통각, 가벼운 촉각은 보존됩니다.
③ 중심척수증후군(central cord syndrome)
: 척추의 젖힘 손상에 의해 척수 중앙에 출혈과 부족으로 다리보다는 팔에서 더 심한 신경학적 증상들이 나타납니다.손상부위 이하에서 운동기능이 감각소실보다 더 크게 나타나지만 척수로(spinal tract)의 보존으로 방광, 직장과 성 기능은 유지됩니다.
④ 브라운-세카르증후군(Brown-Sequard's syndrome)
: 척수의 반쪽 절단으로 척수의 한 쪽을 침범해 동 측 손상부위 이하의 운동기능과 위치감각이 소실되며, 반대 측에서는 통각과 온각이 상실되는 비대칭적인 양상을 보입니다. 이는 가 쪽 척수시상로가 반대쪽으로 교차되기 전 동측 척수 위쪽 2~4개 분절에서 신경의 교차가 일어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가쪽기둥 손상시에는 족관절 간대성 경직(ankle clonus), 바빈스키반사(Babinski reflex)가 항진되며, 뒤쪽기둥 손상 시에는 운동기능, 진동감각, 고유수용성 감각이 상실됩니다.
* 바빈스키반사란 발바닥반사(plantar reflex)의 일종으로 바빈스키반응(Babinski response), 바빈스키징후(Babinski sign)라고도 부르며 발바닥을 자극했을 때 엄지발가락을 포함한 발의 앞쪽이 쫙 펼쳐졌다가(펴짐, extension 또는 등쪽굽힘, dorsiflexion) 오므리는 반응을 말합니다. 신생아에서는 원시반사(primitive reflex)의 일종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정상적으로는 생후 약 12~18개월 후 이와 같은 반사 반응은 사라집니다. 성인에게서 바빈스키 반사가 있는 경우 뇌 또는 척수의 이상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⑤ 엉치신경 보존반응
: 척수 중심에 위치하는 엉치신경 분지의 불완전 손상으로서, 엉치신경 분절로부터 지배받는 부위는 그 기능이 남아있게 됩니다. 항문 주위 감각, 항문조임근의 수축, 말안장부의 피부감각, 발가락 굽힘근의 능동 수축이 가능합니다. 엉치 신경 보존 반응 검사의 양성반응은 척수의 불완전 손상을 암시하는 의미 있는 신경학적 징후입니다.
⑥ 말총 신경증후군
: 척수는 L1 1/2에서부터 가늘어져 척수원뿔 모양을 형성하고 그 아래 말총신경으로 끝납니다. 이 부위의 횡절단은 많은 신경 뿌리들이 넓게 퍼져 있기 때문에 불완전 손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말총 신경은 해부학적으로는 말초신경이므로 재생의 잠재력이 있다고 말할 수 있겠으나, 아래와 같은 이유로 완전 회복이 잘 되지 않습니다.
· 병변 부위와 말초신경의 지배 부위와의 거리가 너무 멉니다.
· 손상된 축삭의 재생이 이전 신경이 지배하던 경로를 따라 그대로 회복되지 않습니다.
· 축삭의 재생이 신경 교원질의 반흔 형성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 손상된 신경이 일단 재생하더라도 이전 기능을 완전하게 수행하지는 못합니다.
· 신경의 재생 속도가 매우 느리고 약 1년 후에는 아예 중단됩니다.
⑦ 신경뿌리 이탈(root escape)
: 손상된 부위의 신경뿌리가 제 위치에서 벗어나지만 기능이 어느 정도 보존되거나 회복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일종의 불완전 말총 신경 손상의 형태입니다. 척수손상으로 인해 손상부위 또는 그보다 높은 수준의 말초신경 뿌리들이 침범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말초신경의 손상에서 이루어지는 신경의 재생 잠재력이 있기 때문에 척수손상자의 일부 기능들이 호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근골격계 신경계 병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수손상의 수준별 기능 (0) | 2022.09.26 |
---|---|
척수손상의 증상 (0) | 2022.09.26 |
척수손상의 원인과 손상기전 (0) | 2022.09.22 |
골수염의 원인 증상 중재 (0) | 2022.09.07 |
소뇌실조 증상과 물리치료 중재 (0) | 2022.09.06 |
댓글